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자격증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선생님이 될 수 있습니다. 외국인 대상이면 우리나라에서의 교원 자격증이 아니지만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는 것을 직업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될 수 있는 자격증이 며칠 전 2차 시험인 면접을 치르고 이제 합격자 발표만이 남아있습니다.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2차 합격자 발표 일정
2차 시험인 면접은 이번 달인 11월 12일에서 13일간 이뤄졌습니다. 아무래도 선생님의 자질을 보기 때문에 각종 능력도 보지만 교사의 적성 및 인성 등도 함께 보고 있는 면접시험이었습니다.
- 합격자 발표 : 2022년 11월 30일(수)
면접을 끝으로 합격을 했다면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에 통화를 한 것입니다.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올해는 필기시험만 치렀다면 내년 시험에는 면접시험만 준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시험 정보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에 대한 응시 자격은 특별한 제한은 없습니다. 다만 한국어교원자격 3급을 취득하려고 하는 분은 한국어교원양성과정을 이수한 후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에 합격을 해야 합니다.
- 시험과목 및 방법
구분 | 교시 | 시험과목 | 배점 | 문항수 | 시험시간 | 시험방법 |
필기 | 1 | 1. 한국어학 | 90점 | 60문항 | 100분 (09:30 ~ 11:10) |
객관식 4지 택일형 및 주관식 |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30점 | 20문항 | ||||
2 | 3. 한국문화 | 30점 | 20문항 | 150분 (12:30 ~ 15:00) |
||
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 150점 | 93문항 (주관식 1문제) |
||||
면접 | - 전문지식의 응용능력, 한국어 능력, 교사의 적성 및 교직관, 인성 및 소양 |
외국인 또는 재외 동포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교사이기 때문에 한국어도 물론 잘해야겠지만 외국어 또한 잘할 수 있다면 조금 더 잘 가르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에 맞춰 필기시험에도 들어가지만 한국 문화도 같이 병행해서 알려준다면 더 좋은 교육이 될 것 같습니다.
- 합격기준
구분 | 합격 결정 기준 |
필기 | - 각 영역의 40퍼센트 이상, 그리고 전 영역 총점(300점)의 60퍼센트(180점) 이상을 득점한 자 |
면접 | - 면접위원별 점수의 합계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60점 이상 득점한 자 |
다른 여타 자격증 시험과 비슷하게 합격 커트라인으로는 평균 60점 이상인 것 같습니다. 교육자 자격증으로서 해당 자격증만으로는 한국어교원자격을 얻지는 못하지만 한국어교원 연수과정을 먼저 이수하고,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에 합격하면 심사과정을 거쳐 한국어교원자격 3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